분류 전체보기
-
The Stooges카테고리 없음 2023. 3. 15. 15:24
Thires님의 글 '음악'에 있어서 '기교'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가장 중요한가? 상당히 중요한가? 결국은 2차적인 문제인가? 양념같은 역할 뿐인가? 사실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가? 60년대 후반, 디트로이트의 양아치였던 James Osterberg는 The Doors에게 완전히 빠져버려서 자기도 짐 모리슨같은 간지남이 되어 무대를 휩쓸고 다니려는 생각에 경도되어 있었다. 그러나 하늘도 무심하시지 제임스는 악기라고는 연주는 커녕 제대로 만지지도 못하는 사람이었으며 노래를 잘 부르는 것도 아니고 짐 모리슨과 같은 시인도 아니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예술적 재능이라고는 눈꼽만치도 없는 것 같은 제임스가 잘 하는 거라고는 난동부리기와 때려부수기가 전부였다. 그래서 제임스는 어떻게 했나? 그는 자신이 잘 하는..
-
Minor Threat[Thires] 2023. 3. 15. 15:24
Thires님의 글 혹시 술이나 담배를 하는가, 아니면 하지 않는가? 그것들이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금주-금연은 자유의 침해인가? 지향해야 할 곳인가? 우리나라는 마약에는 다소 친숙하지 않은 느낌이 있지만, [록 음악]과 [술-담배-마약]간의 관계가 어떨 것 같냐고 물어본다면 아마 거의 모두가 '아주 밀접한 관계'라고 대답할 것이다. 사실 이 둘은 너무나도 밀접해서 '그래도 편견이다'라고 치부하기도 뭐한 느낌인게, 록 공연장에선 당연히 술을 팔고 대다수가 즐기며, 입구에선 누구나 담배를 피고, 무대에서 뮤지션들이 맥주를 들이키거나 줄담배를 피우는것도 너무나 자연스럽다. 여기에 이런 관습을 깨부수는 문화를 만들어낸 청년들이 있다. 워싱턴 고딩이었던 Ian Mackye는 가까운 사람들이 술담배마약에 찌들어 ..
-
WU LYF[Thires] 2023. 3. 15. 15:23
Thires님의 글 이상하다는 것은 정확히 어떻다는 걸까? 다른 몇 가지 추상적인 단어들처럼, 이상하다는 개념 또한 누구나 자주 쓰고 의미를 잘 알고 있지만 막상 풀어서 정의하려면 아리송하다. 네이버 사전의 힘을 빌려보자: 1. 정상적인 상태와 다르다. 2. 지금까지의 경험이나 지식과는 달리 별나거나 색다르다. 3. 의심스럽거나 알 수 없는 데가 있다. 첫 번째 뜻에서 몇몇은 '그럼 정상적인건 뭐냐?'라는 반발심 담긴 의문이 떠오르겠지만 적당히 눈감아주면 그럭저럭 수긍이 가는 뜻이다. 인간은 사회를 이루는 동물이고, 다수가 모이면 보통 '보편적'(절대 옳은건 아니다!!!)인 행동과 생각, 감정들이 생기게 되니 이게 아니라면 이상한 행동, 이상한 생각, 이상한 감정 등등이라고 할 수 있을것같다. 맨체스터의..
-
Lightning Bolt[Thires] 2023. 3. 15. 15:23
Thires님의 글 록 음악을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악기는 무엇일까? 일단 록이란건 기본적으로는 쿵쾅쿵쾅 신명나는 음악이니 비트를 맡는 드럼이 필요할 것이요, 곡의 기본과 그루브를 주기 위한 베이스도 없어선 안되겠고, 멜로디는 물론이고 록의 상징과도 같은 폭발적이고 시원한 리프와 코드를 위한 기타는 필수적이고, 무엇보다도 잘생겼던지 목소리가 좋던지 무대매너가 끝장이던지 아무튼 인기(?)와 절절한 감정들을 곡에 부여하는 보컬은 너무나도 중요해 보인다. 이상 4인구성은 비틀즈 시절부터 존재해온 록 밴드의 기초이자 관습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면, 구관이 명관이라는 옛말마따나, 이게 최선일까? 무수한 포스트록 밴드들이 보컬을 삭제하고도 멋진 감정의 폭발을 보여주고,The White Stripes나 ..
-
The Jesus And Mary Chain[Thires] 2023. 3. 15. 15:23
Thires님의 글 노이즈와 팝은 다른가? 본격적인 대답에 앞서 우리는 각 단어의 정의를 알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비록 믿음은 잘 가지 않지만 네이버를 통해 쉽게 접근가능한 파퓰러음악용어사전??을 찾아보면 단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소음: 소음이란 이것을 듣는 주체에 있어 불필요하고 장해가 되는 음을 말한다. 팝: ‘대중적인’이라는 뜻. 파생어인 팝스는 대중 음악을 의미한다. 또한 ‘이번 작품은 팝이다’는 식으로 사용할 때는 ‘알기쉽고, 경쾌하고, 리듬이 좋은 작품’이라는 의미이다. 뜻을 보면 아리송하지만 그렇다고 명확하게 완전히 반대되는 뜻은 아니라는 것도 보인다. 그렇다고 같거나 비슷하다고는 절대로 할 수 없어보이는 의미들이다. 그럼 팝과 노이즈는 같은가? 다른가? 겹칠 수 있는가? '대중성..
-
Spiritualized[Thires] 2023. 3. 15. 15:22
Thires님의 글 구글 이미지검색에 Jason Pierce인가 Spiritualized인가를 검색해보면 우주복을 입고 잠든 남자의 사진이 나온다. 나에게 이 남자의 이미지는 첫 조우부터 지금까지 이 사진이었다. 80년대 Spacemen 3라는 괴물밴드를 조직하여 스페이스록이라는 특이한 장르를 탐닉했던 Jason Pierce는 무중력 유영과 끝없이 광활한 우주공간에 깊이 빠져들어 이름을 J. Spaceman으로 바꾸고 Spiritualized라는 이름하에 솔로 프로젝트들을 시작하게 된다. 이 남자의 대표작 Ladies and gentlemen...은 약상자를 모티프로 삼은 디자인과 내용물로 매니아들의 큰 흥미를 끌었는데 이 음반은 말그대로 '우주적인' 사이키델리아가 뭔지 제대로 보여주는 90년대 록의 명..
-
the Replacements[Thires] 2023. 3. 15. 15:22
Thires님의 글 '자유'와 '방종'의 경계는 어디인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인 이 질문은 너무 중요하여 도스토예프스키를 비롯한 대문호들의 명작에도 자주 주제로써 나타나곤 하는데 (여담이지만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은 '자유'의 의미에 대한 심도있는 주제가 담긴 대작소설이다 완전 짱짱하다) 무튼 다분한 사회비판의식을 담고 의도적인 방종을 일삼았던 비트족과 그들의 후예인 펑크 그리고 펑크의 직간접적 후예라고 할 수 있는 오늘날의 대다수의 음악들에 있어 자유는 무엇이고 방종은 무엇인지, 어디까지가 자유고 어디서부터가 방종인지, 그리고 정말로 둘은 다른 것인지를 잠깐이라도 생각해 보는 것은 꽤나 의미있는 일일지도 모른다. 70년대후반 미네아폴리스의 한량들이 모여 결성했던 The Repl..
-
Explosions in the Sky[Thires] 2023. 3. 15. 15:21
Thires님의 글 아마 인디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포스트록(post-rock)이라는 장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포스트록이 무어냐? 사전을 찾아보자: post라는 단어에는 우편물 같은 뜻 말고도 '~이후에' 같은 접두어로써의 의미도 있다. '록 이후의 록'? 그래서 이게 무엇인고?? 90년대부터 시카고 등지에서 흥하기 시작한 포스트록은 기타베이스드럼 이라는 전통적 록 악기를 사용하되 전통적 록과는 다르게 연주하여 음색과 질감에 의미를 크게 부여하고 보컬은 없거나 있어도 악기의 일부 취급을 받는 음악의 총칭으로, 쉽게 말해서 서사에 중점을 두는 연주 중심의 수분-수십분의 매우 긴 곡들을 하는 록 아닌 록 음악이다. 아니 클래식도 아니고 무슨 수십분이라니 거기에 노래도 안부른다고!..